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콤포스트를 이용하는 양돈농가 현장조사 및 분석 |
논문명(영문) |
Analysis and On-site Investigation for Pig Farms Operating EnclosedCompsoting System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동현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02월 |
본 연구에서는 콤포스트를 사용하여 퇴비화하는 양돈농가 12곳에 대하여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해당농가의 시료를 채취하고 물질성상을 분석하여 콤포스트에서 만들어진 퇴비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영현황은 콤포스트를 운영 중인 농가의 농장 면적, 돈사 면적, 사육두수, 콤포스트 반응조 크기, 일일 투입량, 체류시간, 후숙장크기, 후숙 기간, 액상분뇨 처리방법, 스크러버 설치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돈분의 물질성상 변화를 분석을 위하여 3개지점(Input, Output, Maturation)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pH, 수분함량, 원소분석(C, N, S, H, O), 총 고형물, 휘발성고형물, 유기물, 종자발아지수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콤포스트를 운영하는 양돈농가의 규모, 콤포스트 운영실태 등을조사하여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부숙도가 상승하여안정화된 물질이 되었으나, 후숙과정을 진행함에 따라 물질성상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양돈농가의 콤포스트 기초 운영방법에 대한 조사와 이에 따른 돈분의 물질성상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콤포스트에 대한기초적인 운영현황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