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이 육성돈의 성장, 고온 스트레스 지표, 혈구구성, 혈액이화학지표,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Effects of dietary crude fiber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heat stress index, blood cell composition, hematological profile and nutrient diegestibility in growing pigs under heat stress condition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양돈과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김조은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05월 |
본 시험은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이 육성돈의 성장, 고온 스트레스 지표, 혈구 구성, 혈액 이화학성분,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 3원교잡종 육성돈 75두를 공시하였고, 개시체중(49.69±0.48kg)을 기반으로 3처리 5반복, 반복당 5두식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4주간 수행하였으며, 수행기간동안 평균 THI(THI, Temperature-humidity index)는 85.31±0.09로 나타났다. 시험 처리구는 조섬유(CF, Crude fiber)수준 3수준으로 LF(LF, Low Fiber, CF 2.8%), MF(MF, Medium Fiber, CF 3.8%), HF(HF, High Fiber, CF 4.8%)로 구성하였다. 고온환경에서 MF에 비해 HF에서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43).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구구성은 Eosinophil이 조섬유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05), 이외 혈구 및 혈액 이화학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의 경우 조섬유 수준이 높아질수록 건물, GE(GE, Gross Energy), NDF(NDF, Neutral Detergent Fiber), ADF(ADF, Acid Detergent Fiber)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p<.05), 이외 다른 영양성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고온환경에서 사료 내 조섬유 수준 4.8%까지 생산성 개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