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Stearoyl-CoA Desaturase (SCD )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이 돼지의 지방산 조성 및 지방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논문명(영문) Stearoyl-CoA Desaturase (SCD )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이 돼지의 지방산 조성 및 지방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김현아
    성과년도 2024 성과적용일 2024년09월
    지방의 조직감은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포화지방산과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돼지의 stearoyl-CoA desaturase (SCD ) g.-233T>C 단일염기다형성 마커가 지방산 조성과 지방의 조직감에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유전자형별 발현 수준, 지방산 조성 및 조직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SCD 유전자의 발현수준은 유전자형별 5마리의 돼지에서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60마리의 돼지등심을 사용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texture profile analysis (TPA)로 지방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 껌성, 씹힘성을 측정하였다. SCD 유전자의 유전자형별 발현 수준 분석 결과, CC 유전자형의 발현 수준이 다른 유전자형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지방산조성 분석에서는 CC 유전자형에서 C18:0 (스테아르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p <0.05), TPA에서는 유전자형별로경도와 껌성에서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SCD g.-233T>C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는 돼지고기 지방의 지방산 조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중요한 유전자 마커일 가능성이 있지만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지방경도의 변화를 명확히 밝히고 돼지 개량 유전자 마커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