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콤포스트 돈분 퇴비의 후숙기간 산정을 위한 연구 |
논문명(영문) |
A Study to Estimate The Maturation Period of Compost from SwineManure in Vertical-type Enclosed Composting Facillity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동현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0월 |
본 연구에서는 양돈 농가에서 콤포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부숙된 돈분 퇴비의 후숙 기간에 따른 안정성과 품질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후숙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6곳의 양돈 농가(A~F 농장)에서 수거된 퇴비를 대상으로, 약3톤 규모 원추형 퇴비 더미를 형성하여 후숙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퇴비 더미의 온도는 56일(8주) 이후 외기온도와 유사해졌다. pH는 후숙이 진행됨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 함량(Water) 및 총고형물(TS)은 증가하였다.휘발성 고형물(VS)과 총켈달질소(TKN)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퇴비 품질이 향상됨을 나타냈다. 퇴비의부숙도와 품질를 측정하는 지표인 종자발아지수는 28일(4주) 시점에 모든 시험구에서 완전히 부숙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콤포스트에서 부숙된 돈분 퇴비는 28일 이후 안정성이 확보되며, 56일 이후 후숙이 완전히 종료됨을 확인하였다.또한, 유기물 분해로 인한 질소 성분의 상대적 증가로 퇴비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콤포스트에서 부숙된돈분 퇴비의 후숙장을 설계하고 건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