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축산 지역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및 암모니아 전환율 산정: 보령지역을 중심으로 |
논문명(영문) |
축산 지역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및 암모니아 전환율 산정: 보령지역을 중심으로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주저자 |
김재은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0월 |
목적 : 초미세먼지(PM2.5) 발생과 암모니아의 연관성이 알려짐에 따라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해 주원인으로 지목되
는 암모니아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암모니아의 주 배출원인 축산 지역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
이며, 이에 본 연구는 축산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측정과 분석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대기오염물질 관리 토대를 마
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1~2022년까지 충청남도 보령 지역의 대기 및 기상조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분석을 진행하였고,
관측된 대기오염물질(암모니아,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오존, 입자성 물질 등)과 초미세먼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토의 : 보령지역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여름철 농도가 감소하고 이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NO2,
SO2, PM10 등 대부분의 물질에서 기준치 이내로 관측되었다. 암모니아의 경우, 국내 대기환경기준이 마련되어 있
지는 않으나, 연평균 61.5±55.3 ppb로 타 연구 결과 대비 높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근 축사의 영향으로 판
단된다. 측정 기간 PM2.5의 평균값은 각각 봄(30.1 μg/m3), 여름(18.3 μg/m3), 가을(25.3 μg/m3), 겨울(31.7 μg/m3)로
연간 기준치인 15 μg/m3를 초과하였으며, 이때 PM2.5 내 입자상 오염물질은 암모늄(NH4
+, 32.8%), 질산염(NO3
-,
35.9%), 황산염(SO4
2-, 19.7%)이 대부분을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암모니아-암모늄 전환율(NHR)은 연 평균 0.08 수
준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 기상 조건(온도, 상대습도)에 따라 가스/이온 상변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PM2.5 농도에 따른 NHR을 분석한 결과, PM2.5 농도가 높을수록 NHR도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측정 지역은
암모니아 농도는 높았으나 NHR이 낮게 나타났으며, 타 연구 결과 대비 암모니아의 이차 생성 미세먼지 기여율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 : 축산 지역의 고농도 NH3의 저감 방안이 필요한 한편, 미세먼지 형성 반응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고농도 암
모니아 발생 지역의 경우 암모니아를 비롯하여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들의 동시적인 관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