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한우 근육세포에서 LY9 처리에 의한 증식 및 분화 조절 연구
    논문명(영문) 한우 근육세포에서 LY9 처리에 의한 증식 및 분화 조절 연구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품목코드 생명공학 / 유전자 기능 및 제어 / 유전자발현조절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임진아
    성과년도 2024 성과적용일 2024년12월
    행 연구에서 한우의 증체량 차이가 큰 두 그룹의 근육조직을 대상으로 RNA-seq 분석을 수행한 결과, 증체량이 높은 그룹에서 LY9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LY9가 한우의 근육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LY9의 처리가 한우 근육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생후 6개월령 한우의 우둔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분화 유도 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분화 후 3일째 근섬유가 생성되었으며, 6일째에는 근육세포가 합쳐진 다핵세포가 관찰되었다. 또한 근육 분화가 진행 진행됨에 따라 근육 섬유의 형성과 성숙유도하는 핵심 유전자 MyoD, MyoG가 증가했으며 LY9의 발현도 함께 증가했다. LY9 처리에 의한 근육세포 증식률을 조사한 결과 50, 100n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세포 증식률이 증가했으며,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분화유도 후 mRNA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분화 후 3일째 PAX7, MyoD, MyoG의 발현율이 Control구에 비해 발현이 증가했으며 Desmin의 발현이 감소했다. 본 연구는 LY9의 처리가 한우 근육세포의 분화과정에서 근육 조절 인자의 발현을 상향조절 하여 근육세포의 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