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소 난모세포 등급별 L-carnitine 첨가가 체외 수정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소 난모세포 등급별 L-carnitine 첨가가 체외 수정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한우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세영 |
성과년도 |
2023 |
성과적용일 |
2024년12월 |
본 연구는 2024년 3월부터 7월까지 소 체외수정란 생산시 난모세포 성숙단계에 L-carnitine(LC) 첨가 농도(0, 3, 6 mM) 및 난모세포 품질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축 난소에서 난자-난구세포 복합체를 회수한 뒤, 난구세포의 충실도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Grade 1은 그룹 1로 분류하고, Grade 2, 3은 그룹 2로 분류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난자를 L-carnitine이 각각 0, 3, 6 mM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38℃, 5% CO2 조건으로 22시간 동안 체외성숙 배양하였다. 체외수정 후 배양 5일 차에 균등 분할된 수정란 비율(Cleavage rate, CR)과 배양 7~9일까지 발생된 배반포 발달율(Blastocyst development rate, BR) 및 분할된 수정란 대비 배반포 발달율(BR/CR)을 조사하였다. LC 처리 유무에 따른 분할율은 유의차가 없었고, 배반포 발달율은 대조구(28.8%)에 비해 처리구가 40.2%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BR/CR 비율도 대조구(45.8%) 대비 처리구(61.6%)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난자 등급별 L-carnitine 첨가 효과는 1등급 난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2~3등급의 난자에서는 처리구에서 분할율 및 배반포 발달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특히 3mM 첨가시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으나, 6mM 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C 첨가에 따른 배반포의 총 세포수간 유의차는 없었고,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난모세포 성숙 후 내부 지질밀도가 세포질 내부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로 저품질 난모세포에서 L-carnitine첨가시 배반포 발달율 향상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가적으로 체외수정란 생산시 L-carnitine의 지질대사 촉진 및 항산화 효과 규명 등의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