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포유자돈 일당증체량 차이에 의한 장내 미생물 변화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임진아
    성과년도 2024 성과적용일 2024년12월
    본 연구는 포유자돈의 장관 별 미생물 특성과 일당증체량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장내 미생물이 돼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후 21일령 LYD(Landrace x Yorkshire x Duroc) 교잡돈을 대상으로 일당증체량 상위 그룹(317.1g±15.6g)과 하위 그룹(169.4g±43.2g)으로 나누어 장내 미생물 조성을 분석하였다. QIIME2를 이용 하여 포유자돈의 장내 미생물 조성을 분석한 결과, 일당증체량에 따른 미생물 조성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특히, 하위 그룹에서는 Clostridium_sensu_stricto_1과 Prevotella가, 상위 그룹에서는 Bacteroides와 Romboutsia가 풍 부하게 존재하였다. 미생물 대사 기능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과 탄수화물 대사는 상위 그룹의 소장에서 활발한 반면, 하위 그룹에서는 대장에서 활발하였다. Spearman’s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일당증체량 관련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총 32 개의 미생물속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Methanobrevibacter, Phascolaratobacterium, Terrisporobacte 는 일당증체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돼지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에 서 발굴된 일당증체량 연관 미생물은 자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미생물과 돼지 성장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