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사료 에너지 수준이 우리맛닭 2호 종계 육성기의 생산성과 지방침착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사료 에너지 수준이 우리맛닭 2호 종계 육성기의 생산성과 지방침착에 미치는 영향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
품목코드 |
|
학술지명 |
한국가금학회지 |
주저자 |
임천익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2월 |
본 연구는 사료 내 대사에너지 수준에 따른 육성기 우리맛닭 2호 종계의 생산성과 지방침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 에너지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4주령 우리맛닭 2호 종계 144수를 4처리구의 4반복으로 9수씩 체중이 유사하도록 배치하여 16주령까지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는 대사에너지를 2,600, 2,700, 2,800 및 2,900 kcal/kg 수준으로 배합하여 급여하였다. 본 연구결과 2,800과 2,900 kcal/kg 급여구에서 2,600 kcal/kg 급여구에 비해 체중과 증체량이 증가하였다(P<0.05). 사료요구율은 2,900 kcal/kg 급여구가 2,600과 2,700 kcal/kg 급여구와 비교하여 개선됨을 보였다(P<0.05). 시산일령은 2,600과 2,700 kcal/kg 급여구에서 2,900 kcal/kg 급여구에 비해 빠른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간과 복강 내 지방함량은 2,600 kcal/kg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중 AST와 ALT 수치는 2,600, 2,700 및 2,800 kcal/kg 급여구에서 2,900 kcal/kg 급여구보다 감소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종계 산란기의 계란생산과 건강을 고려한다면 육성기의 대사에너지는 2,600 kcal/kg 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