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Ross 308 육계의 체중과 선형 신체 부위별 측정 간의 관계 |
논문명(영문) |
Ross 308 육계의 체중과 선형 신체 부위별 측정 간의 관계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가금류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김현수,이우도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4년12월 |
본 연구는 육계 Ross 308의 성장 과정 중 특정 신체 부위를 측정 및 선형 신체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체중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방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시동물로 1일령 육계 700수를 배치하였으며, 총 5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개체별 실제 체중 및 신체 특정 부위(머리 길이(HL), 부리 길이(BL), 몸 길이(BDL), 날개 길이(WL), 정강이 길이(SL), 키 높이(H))를 조사하였으며, 1일령을 기준으로 실험 종료 시까지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도출된 회귀 방정식은 상업용 육계 품종(Ross 308)에 대하여 결정되었으며, 체중과 각 부위별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는 결정계수(R2)를 사용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선형 신체 매개변수에 대한 체중의 선형 회귀는 단순 선형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한 신체 부위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진 부위는 HL로, R2=0.9766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정확도가 가장 낮은 신체 부위는 SL(R2은 0.8487)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특정 신체 부위 측정을 이용한 선형 신체 측정 방법은 육계의 체중 예측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나 정확도 향상 및 낮은 오차 범위의 체중예측을 위하여 추가 데이터 축적과 다중 회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