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홀스타인과 저지 젖소에서 보행지수에 따른 활동량, 반추시간, 유량 변화 분석 |
논문명(영문) |
Impact of Locomotion Score on Activation, Rumination and MilkYield in Holstein and Jersey Dairy Cow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저어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정무영 |
성과년도 |
2024 |
성과적용일 |
2025년01월 |
소의 발굽질환은 낙농가의 주요 질병 중 하나이다. 발굽질환은 발생 비율이 높고, 우유 생산을 감소시켜 낙농가의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발굽질환은 생체지표에도 영향을 미쳐 생체정보측정장치를 통해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 발굽질환이 발생하면 소의 생체지표인 활동량, 반추시간, 유량 등이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의 발굽질환 유무에 따른 생체지표 변화가 소의 품종에 따라 다른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지 품종과 홀스타인 품종에서 발굽질환 유무에 따른 생체지표 변화가 다른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같은 사육환경에서 자란 착유우 홀스타인 63두, 저지 12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얻었으며, 로봇착유기와 생체정보측정장치를 통해 일자별 활동량, 반추시간 그리고 유량을 수집하였다. 소의 발굽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다섯 단계의 보행지수를 수의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v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젖소 품종의 나이, 산차는 차이가 없었고, 비유일수의 분포도 동일하였다. 또한 두 품종은 비슷한 보행지수 평균과 분포를 나타내었다. 활동량은 보행지수와 품종 그리고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다. 반추시간은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으며, 유량은 보행지수와 품종에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행지수에 따른 활동량의 변화는 품종의 영향을 받으며, 생체정보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발굽질병의 발생을 정확히 탐지하기 위해서는 젖소의 품종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