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기술을 통해 선발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이형 화서의 형태 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 분석 |
논문명(영문) |
Analysis of Gene Expression Changes Related to Morphogenesis of Inflorescence Variants in Italian Ryegrass Elite Lines Induced by Radiation Mutagenesis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조사료생산시스템과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사료작물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주저자 |
민창우 |
성과년도 |
2025 |
성과적용일 |
2025년01월 |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기술을 통해 2021년 6월에 종자를 방사선 처리하여 돌연변이체를 개발하였다. 그 중 이형
화서 형질을 나타내는 계통을 F3까지 고정하였다. 해당 계통의 이용하여 형태 형성에 관여하는 Expansins, GRF, GIF
및 성장 호르몬 관련 유전자들의 차별 발현을 분석하였다. 방사선 돌연변이 육종기술을 통해 선발된 이형 화서 계통은
복수상화서의 형태로 화서축에 대하여 여러 분지가 나타났으며, 분얼당 소수수는 약 2.1배 증가하였으나 천립중은 10%
감소하였다. 1-3주령 유묘의 잎에서 대조군과 이형 화서 계통의 형태 형성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다양한
발현 패턴이 관찰되었다. 3주 내내 대조구 대비 발현량이 낮은 그룹, 1-2주차에는 대조구 대비 비슷하거나 높은 발현량
을 보이나 3주차에 급감한 그룹, 1주차에만 낮은 발현량을 보이는 그룹 이와는 대조적으로 1주차에만 높은 발현을 나타
내는 그룹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형태형성에 관련된 Cyclin-B1-2, DA1-like, EXPB2, GRF11, IAA3,
IAA30-like, AXR1, CXK2, PEVMPP1 등의 유전자의 과발현 또는 저발현이 화서의 형태, 종자의 수와 무게를 결정하
는데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