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돼지 다리건강 및 연산성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
논문명(영문) |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Leg Health and Stayability in Pigs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양돈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개량돼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김영신 |
성과년도 |
2023 |
성과적용일 |
2025년04월 |
본 연구의 목적은 돼지의 다리건강과 연산성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구명하고, 종돈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질을 발굴하는 것이다. 검정이 완료된 요크셔 20,039두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공시축 중에 6,871두의 검종돈에 대해 다리형태 외모를 조사하였다. 기립자세(SP), 무릎관절(KJ), 발목(PT), 발톱(CL) 및 연산성(STAY) 등 총 5개 형질에 대해 선형-임계(linear-threshold) 모델을 통해 형질별 유전력과 형질 간의 상관을 추정하였다. 발목, 기립자세, 연산성의 유전력은 0.15-0.18로 추정되었으며, 나머지 형질은 더 낮은 유전력으로 추정되었다. 연산성과의 유전상관에서 기립자세가 0.80±0.07로 가장 높았고, 발목은 0.68, 무릎관절은 0.56의 상관을 보였다. 다리형태 형질 중 기립자세와 발목 형질의 유전력은 각각 0.16과 0.18로 다른형질에 비해 더 높은 개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두 형질은 연산성과의 유전 상관에서 다른 형질에 비해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돼지의 다리건강 개선을 위해 기립자세와 발목의 외모는 국내 종돈개량에 주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돈선발 시 이러한 형질들을 고려함으로써 모돈의 연산성 향상과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