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젖소유전능력평가에서 유전체 육종가 적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축개량평가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김희발 |
기술유형 |
종자(축) / 육종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15 |
성과적용일 |
2015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65353-축산자원개발-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김희발-젖소유전능력평가에서 유전체 육종가 적용.hwp
다운로드
|
. 현황 및 문제점
○ 젖소의 유전능력평가의 경우 혈통 정보를 위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혈통정보는 각 논장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
○ 현재 구축하고 있는 유전체 정보를 이용할 경우 혈통 정보의 오류를 교정하여 유전능력평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
2. 정책제안 내용
○ 가축검정기준 (농림수산식품부고시 제2014-128호) 제3장 젖소 검정기준 제18조 (씨암소의 자격)
3. 연구결과
○ 기존의 BLUP와 ssBLUP을 비교한 결과, 세 개의 유생산 형질에 대해서 모두 ssBLUP을 사용한 유전체 육종가의 정확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음
4. 파급효과
○ 유전체 육종가를 활용할 경우, 기존의 유전능력평가보다 선발 정확도에 따른 유생산량, 유지방, 유단백의 유전적 개량율을 5.2%, 5.67%, 5.7% 증가시킬 수 있음
○ 정확한 선발로 우수 암소의 조기 선발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