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개동경이”의 무미형질 유전인자 보존을 위한 DNA 검사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자원ㆍ정보관리 / 자원관리 |
주저자 |
최봉환 |
기술유형 |
생명공학 / 유전체.생물정보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산업실용화기술 |
성과년도 |
2015 |
성과적용일 |
2015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55050-축산생명환경-동물유전체과-최봉환-천연기념물 540호 “경주개동경이”의 무미형질 유전인자 보존을 위한 DNA 검사.hwp
다운로드
|
○ 제안배경
- 2012년 11월, 경주개동경이는 우리나라 토종개 중에서 3번째로 천연기념물 540호로 지정받았으나 진돗개나 삽살개에 비해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반려견 산업으로의 홍보가 미약한 상태임
- 경주개동경이의 고유의 표현형질(무미) 및 우수혈통 보존을 위하여 무미형질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DNA 검사 시범추진 필요
○ 제안내용
-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개 동경이에 대하여 경주개동경이를 꼬리가 있는 집단과 꼬리가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17만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비교하여 두 집단간에 상반되는 13개 유전자 마커(SNP)을 발굴하여, 이러한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총 26개 유전자빈도를 조사하여 17개 이상(70%이상)에서 무미 유전자형 도출시 무미로 인정
- 문화재청 훈령 제292호 『천연기념물 “경주개 동경이” 관리지침』 제7조(실태조사 및 등록) 3항에 ‘시장은 경주개 동경이가 다른 개 또는 등록이 되지 않은 경주개 동경이와 교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연1회 심의위원이 선정한 관내 사육두수의 10%에 대해 ’경주개 동경이 (무미) 특이 유전자 검사‘를 받아 제출해야 한다.’
- 문화재청 훈령 제292호 『천연기념물 “경주개 동경이” 관리지침』별첨의 경주개 동경이의 품종표준에 무미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 특성 추가
○ 파급효과
-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개동경이의 꼬리 모양에 대한 애견가들의 선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고, 이 기술을 통한 경주개동경이의 혈통보존 및 관리시스템을 개선과 더불어 경주개동경이의 산업적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음
*경주개동경이 분양가 20%향상 가능
- 꼬리가 없는 무미나 단미의 개를 생산하기 위해 무분별한 번식을 제한할 수 있음으로써 반려견의 보호·복지정책에 일조함으로서 반려견 문화정착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