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식품의 기준 및 규격’ 및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사법 중 PCR법 추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물이용과 |
건의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기획관 식품기준과, 축산물기준과 |
품목코드 |
미생물 / 식품미생물 / 축산 |
주저자 |
김현욱 |
기술유형 |
수확후관리 / 가공이용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16 |
성과적용일 |
2016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76060-축산생명환경-축산물이용과-김현욱-‘식품의 기준 및 규격’ 및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사법 중 PCR법 추가.hwp
다운로드
|
○ 목적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황색포도상구균 확인시험 시 생화학적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황색포도상구균 엔테로톡신 산생능 검사법으로 PCR법이 있으나 구체적인 시험법 및 검사 독소형이 명시되지 않기 때문에 검사효율성을 향상을 위한 PCR법 설정 필요
○ 제안내용
-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06호)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cocus aureus) 정성시험법 및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48호)의 황색포도상구균 정성시험법 및 산생능 시험법 중 PCR 시험법 및 검사항목추가
○ 기대효과
- PCR법 활용을 통한 황색포도상구균 확인시험 및 장독소 산생능(독소형) 검사의 동시 진행으로 정확도 및 편의성 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