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가축분뇨 관리·이용대책』에서 “축사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주요 냄새물질”을 변경 수록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주저자 |
조성백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16 |
성과적용일 |
2016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76262-축산생명환경-축산환경과-조성백-『가축분뇨 관리·이용대책』에서 “축사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주요 냄새물질”을 변경 수록.hwp
다운로드
|
1. 현황 및 문제점
○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2005년부터 공동으로 『가축분뇨 관리·이용대책』을 수립하여 정책에 반영하고 있음
○ 지속가능한 친환경 축산 종합대책을 수립함(농식품부, 2014)
- 축종 및 가축분뇨처리 시설별로 축산냄새를 관리하고 있음
○ 양돈장에는 돈사, 퇴비화시설, 액비화시설, 정화처리시설 등 다양한 냄새발생 장소가 있지만 냄새가 발생되는 주요한 장소를 찾는데 어려움 많음
○ 농가에서는 맞춤형 냄새저감 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양돈장 주요 냄새발생 장소와 냄새물질을 알고자 함
○ 악취방지법(환경부, 2012) 개정 및 가축사육 제한구역 지정 권고 (환경부, 2010) 등으로 가축분뇨 및 냄새관련 법률․정책이 강화됨
2. 정책제안 내용
○ 축사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주요 냄새물질 변경
3. 정책제안 반영 기대효과
○ 국내 축산 농장에서 발생되는 주요 냄새물질을 대상으로 맞춤형 냄새저감 기술을 투입하여 냄새민원을 감소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