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가금농장의 ICT 융복합 스마트 팜 모델 제시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농업공학 / 농업시설 / 축산시설 / 기타축산시설 |
주저자 |
최희철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재배(사양)시설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산업실용화기술 |
성과년도 |
2016 |
성과적용일 |
2016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97272-축산생명환경-축산환경과-최희철-가금농장의 ICT 융복합 스마트 팜 모델 제시.hwp
다운로드
|
○ 가금농장의 ICT 융복합 스마트 팜 모델 제시
- 규모설정 : 가금농장별 전업규모(산란계 30,000수, 육계 30,000수, 육용오리 10,000수, 종오리 5,000수, 종계 15,000수 기준 장치의 종류 및 소요시설 제시
- 세대설정 : 1세대 편이성증진, 2세대 생체정보 활용, 3세대 인공지능 및 로봇기술 활용으로 구분
· 기본형(1세대) : 환경계측센서, CCTV,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축사환경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고 화재, 정전 등 안전센서를 위한 안전관리할 수 있는 환경관리 ICT 장비, 사육단계별로 알맞은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사양관리 ICT 장비(사료빈관리기, 음수 관리기, 자동사료급이기 등)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 상태
· 고급형(2세대) : 1세대 모델에서 수집된 데이터와 소형 생체칩, 열화상 장치 등과 같은 생체정보 수집장치를 이용해 호흡, 맥박, 체온 등을 수집하여 가축의 질병 조기진단, 최적 성장모델을 구축한 형태
· 첨단형(3세대) : 최적 환기모델, 지열, 열교환기 등을 이용하여 축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가축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기후변화, 화석연료 고갈에 대비하는 고도의 열환경 통합 관리기술이 접목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등이 융합된 생산성 극대화 첨단형 축사를 일컫음
- 가금농가에서 스마트팜 도입시 농가의 고려사항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