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수입 농후사료 대체를 위한 사료용 보리곡실 이용을 위한 정보 제공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건의부처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장선식
    기술유형 재배(사양) / 사료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성과년도 2016 성과적용일 2016년12월
    첨부파일

    정책제안-176161-축산생명환경-한우연구소-장선식-수입 농후사료 대체를 위한 사료용 보리곡실 이용을 위한 정보 제공.hwp     다운로드

    1. 현황 및 문제점 ○ 청보리가 조사료 자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총체사일리지의 과도한 수분과 까락 등에 의한 기호성 저하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이용효율이 저조 ○ 보리는 건조된 곡실 형태를 거칠게 분쇄하여 급여할 경우, 근내지방도 향상, 기호성 증진에 의한 출하체중 증가 등의 효과가 있으나, 재배현장에서 이모작으로 벼 모내기 시기와 맞물려 완숙된 곡실 수확이 어려움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곡실을 수확과 동시에 발효제 처리를 하면서 톤백에 보관하여 맥류발효사료로 제조 후 급여하여 농후사료 대체와 부족한 볏짚을 대체한 보릿짚의 활용을 유도코자 함 ○ 맥류발효사료는 59% 가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비교적 무른 상태로 건조보리처럼 마쇄나 분쇄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소에 의한 섭취나 소화에 큰 문제가 없음 2. 정책제안 내용 ○ 기존의 청보리 사일리지 형태이용에서 곡실과 보릿짚을 따로 이용하도록 장려 ○ 조사료생산 확충기반사업 시행지침의 ④조사료용 종자구입 및 볏짚비닐 지원에 보리곡실 이용을 포함하여, 보리알곡을 이용한 맥류발효사료 제조용 톤백도 지원이 가능토록 함 3. 정책제안 반영 기대효과 ○ 동계 사료용 보리를 수분이 함유된 채로 수확, 발효 후 비육 한우 거세우의 비육후기에 급여하여 육량 및 육질 등 도체품질 향상으로 농가수익 향상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