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한국형 낙농 스마트팜 모델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농업공학 / 기타농업기계 / 기타농작업기계 / 농작업편이장비 |
주저자 |
이준엽 |
기술유형 |
환경 / 시설환경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16 |
성과적용일 |
2016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97272-축산생명환경-축산환경과-이준엽-한국형 낙농 스마트팜 모델 활용.hwp
다운로드
|
○ 개방화와 고령화, 영세한 영농 규모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에 접목한 스마트 팜 보급 사업 본격 추진
- 스마트팜이란 ICT(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및 PC등을 통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가축의 성장환경을 제어 및 관리
- 환경모니터링, 사양장치, 생체정보 측정장치등이 포함됨
- 스마트팜을 적용하고자 하는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팜 모델이 부재
* 스마트팜 축산농가 730호 보급 예정(‘17, 농식품부)
○ 낙농 스마트팜 모델 제시
- 규모설정 : 전업농 규모(착유우 50두 기준)에서 소요되는 ICT 장치들의 종류 및 설치모델을 세대별로 제시
- ICT 장치 : 농진청개발 또는 국내기술로 제작된 국산제품만 적용하였으며 성장단계별 적용 가능한 장치를 선정
* 환경관리, 사양관리, 착유관리, 번식질병관리, 외부관리, 등으로 구분
- 축산농장의 자동화 및 노동력 절감을 위한 ICT관련 장비의 특징에 대한 소개하여 농가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
- 스마트 팜을 도입하고자하는 농가가 자신의 농가수준을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입시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을 제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