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젖소농장 HACCP 인증 평가표에 착유시설 적정 세척수 온도관리 항목 추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물이용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박원서 |
기술유형 |
수확후관리 / 처리·저장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17 |
성과적용일 |
2017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76060-축산생명환경-축산물이용과-박원서- 젖소농장 HACCP 인증 평가표에 착유시설 적정 세척수 온도관리 항목 추가.hwp
다운로드
|
○ 현황 및 문제점
- 원유냉각기 및 착유시설 세척관리는 젖소농장 HACCP 인증 및 사후관리용으로 평가항목 중 하나이며, 대부분의 낙농가는 자동세척시스템을 구축하여 착유전후 세척・소독을 실시하고 있음
* 세척수 순환단계: 사전헹굼 → 알칼리성세제 → 산성세제 → 사후헹굼
- 실제 작업자는 자동세척시스템에 의존하는 형태로 단계별 세척수의 적정 온도 유지 및 관리가 미흡한 실정
- 세척수 유래 미생물 분포도 조사결과, 내열성 및 포자형성균 경우, 산・알칼리성 조건에도 완전히 사멸되지 않아 세척수 적정 온도관리에 대한 중점관리가 필요함
* 농가(5개소) 대상 최종 세척수 유래 미생물 수는 평균 2.33 log CFU/mL 수준
- 또한, 젖소농장 HACCP 인증 및 사후관리용 실시상황평가표에는 단계별 세척수의 적정 온도관리에 대한 평가내용이 없음
○ 제안내용
- 식약처 고시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별표4]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실시상황평가표, 2-11. 인증 및 사후관리용(소 농장), 나. 평가표 중 세척수 적정 온도관리에 대한 평가항목 추가
○ 기대효과
- 젖소농장 착유시설 위생관리 수준 제고 및 원유품질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