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말 예방백신 접종사업』에 말 비강폐렴 백신 지원 추가 및 백신접종 후 백신항체가 조사 지원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주저자 |
신상민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17 |
성과적용일 |
2017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_15_50_축산생명환경_축산원_신상민_말 예방백신 접종사업에 말 비강폐렴 백신 지원 추가 및 전염성 질병 백신항체가 조사 사업 지원.hwp
다운로드
|
□ 현황 및 문제점
○ 말산업 육성법에 의해 사육두수가 증가(말 사육농가는 감소)
○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농특회계의 『말 예방백신 지원사업』을 통해 마사회 말정보사이트에 등록된 말에 무료로 말 백신을 공급 및 접종을 하고 있으며 이로서 말 전염성 질병을 예방하고 있음
○ 무료로 지원되는 백신은 마선역, 말 인플루엔자, 말 일본뇌염 3종의 백신으로 비강폐렴 백신은 지원되지 않음
○ 국내 경마장, 승마장 및 말 사육 농가 등의 사육환경이 밀집사육의 형태로서 불현성 감염이 특징인 말 비강폐렴 발병시 전파가 급속할 것으로 판단되며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2세 미만의 자마와 임신마의 피해가 우려됨)
□ 제안내용
○『말 예방백신 지원사업』에 비강폐렴 백신 지원 추가
○『말 예방백신 지원사업』을 통한 백신접종 후 마선역, 말 인플루엔자, 말 일본뇌염, 말 비강폐렴의 백신항체가 조사를 통하여 현재『말 예방백신 지원사업』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말 전염병 질병예방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므로 『말 예방백신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백신접종한 말 일부(30%)에 대한 백신 항체가 조사 사업이 필요함
- 항체가 조사결과를 토대로 백신접종프로그램의 조정, 백신제재의 효능검증 및 백신 개발의 주요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