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벼와 조사료의 지속가능한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돈분퇴액비 이용 친환경 축산 건의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사료작물 / 기타 사료작물 |
주저자 |
최기준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재배관리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16 |
성과적용일 |
2017년12월 |
첨부파일 |
정책제안-165959-축산자원개발-초지사료과-최기준-벼와 조사료의 지속가능한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돈분퇴액비 이용 친환경 축산 건의.hwp
다운로드
|
◌ 현황 및 문제점
- 양질조사료 생산기반은 밭, 논, 간척지, 산지 등이 있으나 논이 가장 중요한 생산기반임
- 논에 답리작 재배는 논의 유기물 함량을 감소시켜 쌀 수량, 미질을 저하시킨다는 인식이
답리작 재배 활성화 저해요인의 하나임
- 농식품부는 조사료 생산기반확충사업을 통한 양질조사료 생산 및 이용 확대로 조사료 자급률 향상과
곡물자급률 제고 정책 추진
◌ 정책제안 내용
- (돈분퇴액비 이용) 벼 수확 후 동계사료작물 재배 시, 이른 봄 추비는 돈분퇴액비를 시용하여
답리작 조사료를 생산함
- (벼 재배) 조사료 수확 후 논 토양 분석을 통한 벼 재배에 알맞은 시비처방에 따라 벼 재배 유도
◌ 파급효과
- (논토양 개선)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 증가(벼 단작 대비 6.3%)와 토양의 물리성 개선효과가 있어
벼 + 조사료 생산의 친환경 논토양 비옥도 증진효과가 있음
- (쌀수량 증수, 미질 유지) 돈분퇴액비 이용 동계사료작물 재배 시, 화학비료 절감은 물론
쌀 수량은 증가하고 미질은 비슷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