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 연구활동 > 정책제안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정책제안 글 상세입니다.
시책건의명 |
가축검정기준 후대검정 조사사항에 도축장 거세우 샘플정보 수집 추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축개량평가과 |
건의부처 |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주저자 |
박미나 |
기술유형 |
종자(축) / 육종 |
기술활용유형 |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18 |
성과적용일 |
2018년12월 |
첨부파일 |
축산자원개발_박미나-가축검정기준 후대검정 조사사항에 도축장 거세우 샘플정보 수집 추가.hwp
다운로드
|
1. 근거법령
○ 축산법 제7조(가축의 검정)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14-128호』가축검정기준
2. 사업목적
○ 현재 씨수소 유전능력 평가를 위해 24개월령 후대의 도축성적을 이용하여 표현형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나, 후대검정 두수가 충분하지 않아 현장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체계 필요
- 30개월령 전후로 도축되는 도축장의 거세우들의 샘플을 수집하여 유전체자료를 분석하여 씨수소 유전능력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유전능력 평가 정확도 제고
* 기존의 검정체계에서는 정확한 혈통자료 없이는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할 수 없었으나, 유전체 자료 이용 시 혈통자료 없이기존의 개체와 유전적 연결성을 분석하여 활용 가능
3. 사업내용 및 문제점
○ 한우 씨수소의 후대검정 두수가 적어 씨수소 유전능력 평가 정확도가 선진국에 비하여 낮은 실정임
○ 현장의 도축자료를 수집하여 씨수소 유전능력 평가에 이용하여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자료 수집 체계가 필요하나, 현장 자료를 수집하는 체계가 없음
4. 제안 내용
○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14-128호』가축검정기준 제12조(후대검정 조사사항)에 도축장 거세우 샘플 수집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