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상세 시책건의명, 성과주관부서, 건의부처,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활용분야,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제공
    시책건의명 소 친자감정 및 동일성검사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표준 제정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축개량평가과
    건의부처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이승수
    기술유형 종자(축) / 육종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축산자원개발 기술분야 농업현장대응
    성과년도 2017 성과적용일 2017년12월
    첨부파일

    정책제안-165353-축산자원개발-가축개량평가과-이승수-소 친자감정 및 동일성검사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표준 제정.hwp     다운로드

    1. 근거법령 ○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15-34호 ‘가축 및 축산물의 개체식별을 위한 DNA동일성검사방법’ 제9조제2항(DNA동일성검사 방법 등) 및 별표 1 ‘가축 및 축산물의 개체식별을 위한 DNA동일성검사의 세부적인 방법’ 2. 사업목적 ○ 칡소의 친자감정을 위해 개발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세트 활용하여 칡소 집단의 혈통정립, 개체식별 등 유전적 관리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함 3. 사업내용 및 문제점 ○ 단일염기다형(SNP) 부위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칡소의 친자 감별을 위한 유전자 조성물(마커 세트)를 제공함 ○ 기존의 초위성체 마커 분석 방법은 한우의 동일성검사방법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한우나 칡소 등 근친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의 친자감정에는 정보량이 부족한 한계가 있음 4. 해결방안 ○ ‘가축 및 축산물의 개체식별을 위한 DNA동일성검사의 세부적인 방법’에 개발된 92개 SNP 마커 정보를 추가하여 소의 동일성 검사 및 친자감정 검사법으로 활용하게 함. 이것들의 대립유전자 다양성과 유전자형 빈도, 부권부정율, 다형정보량 등을 확인하여 칡소의 친자를 감정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