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고온 환경 노출기간이 산란계의 생산성(폐사율, 이상란 발생)에 미치는 영향 | ||
---|---|---|---|
분 류 | 닭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8-30 | 조 회 수 | 86 |
자료출처 |
닭-사양관리 7. 고온 환경 노출기간이 산란계의 생산성(폐사율, 이상란 발생)에 미치는 영향
1. 기술배경
○ 온난화 영향으로서 는 급격한 기상의 변화와 함께 사육환경에 영향을 주어 폐사되거나 경제적 가치가 떨어진 가축이 발생하고 있음.
2. 영농활용 기술
가. 현장 문제점
○ 폭염의 지속시간에 따른 산란계의 폐사율 및 계란 생산성의 변화에 대해 집중하여 농가의 사육 위생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 필요함
나. 현장 활용기술
○ 온도별 평균 난중은 25℃ 그룹에서는 61 ± 4.1g, 30℃ 그룹에서는 59.5 ± 5.7g, 35℃그룹에서는 55.6 ± 3.8g으로 각 온도별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의 무게는 지속적으로 감소함
○ 계란의 중량 규격 기준으로 25℃ 그룹은 특란, 30℃, 35℃ 그룹은 대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각란, 연질란, 파각 등의 이상란 비율은 25℃그룹은 1.5%, 30℃ 그룹은 2.1%, 35℃ 그룹은 6.5%로 사육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상란의 비율이 크게 증가함
○ 각 온도별 2주간 노출되었을 때 실험기간 동안 폐사한 산란계는 25℃ 그룹에서는 없었으며 30℃ 그룹에서는 5수, 35℃ 그룹에서는 17수였음. 15수로 3 반복시험(그룹 당 45수)으로 계산해 볼 때 30℃ 그룹에서는 11%, 35℃ 그룹에서는 37% 폐사율을 나타냄
☆온도 그룹별 Hen-day 산란율
○ Hen-house 산란율에 있어서 25℃ 그룹은 79.8%, 30℃ 그룹은 66.8%, 35℃ 그룹은 35.3%로 나타남 (표 1, 그림 2)
○ 고온 환경에 노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산성 감소 결과(중량저하, 계란껍데기 이상, 폐사율 증가)를 참고하여 계사 적정 내부 온도를 유지 하도록 농가 지도에 활용
○ 2주간의 고온환경 노출이 각 온도 그룹 공시가축에 미치는 영향
* Hen-house (HH) 산란율 : 폐사축을 계산에서 빼지 않고 전체로 계산한 산란율
= (산란갯수/초기입식 마리수) x 100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계사 내부 온도 설정에 대한 농가용 지침 작성에 활용
○ 농가 현장지도 시 자료 제시를 통해 계사온도 유지의 중요성 지도에 활용
라. 핵심 기술용어
○ 고온스트레스, 산란계, 생산성
3. 자료출처
○ 가축에 대한 온난화 영향 예측 및 대응 연구 (2013, 영농활용기술, 축산과학원 연구보고서)
○ 고온 환경 노출기간이 산란계의 생산성(폐사율, 이상란 발생)에 미치는 영향 (2013, 영농활용기술, 양승학 등)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