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산지를 활용한 유기흑염소 생산 기술 | ||
---|---|---|---|
분 류 | 흑염소 > 사양관리 | ||
작 성 일 | 2016-09-02 | 조 회 수 | 408 |
자료출처 |
1.산지를 활용한 비육용 유기흑염소 사육모델 바로가기 |
흑염소-사양관리 1. 산지를 활용한 유기흑염소 생산 기술 |
||
|
|
|
1. 기술배경 ○ 흑염소는 대부분 산지 방목사육으로 산림부산물을 활용한 유기조사료 확보가 용이하여 유기축산에 적합한 축종임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산지 방목사육으로 친환경 유기축산을 하는데 유기조사료는 확보가 용이하지만 유기 곡물사료 확보가 어려워 발육, 번식 등 생산성이 낮음 ○ 산지를 활용한 흑염소 사육 시 입지조건, 적정 규모, 시설 등 현장 활용자료가 미흡하여 시행착오와 비용 손실 |
||
나. 현장활용 기술 ○ 입지조건 - 산야초, 수엽류(잡관목)가 풍부하며, 신선한 물 공급이 용이하고 유기농부산물 사료 확보가 편리한 곳 ○ 사육규모 및 시설 - 가족노동으로 관리가능 규모(100∼200)로 하며 방목은 ha당 성축 10∼15두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방목장에 간이사육장, 유도책을 설치 ○ 유기사료 확보 - 찬환경유기농 수도작, 전작 재배단지와 연계 유기사료 확보 (쌀겨, 싸래기, 콩 등 사전 계약구매 활용) ○ 사양관리 - 방목기(4~11월)는 방목지에서 야외 사육, 사사기(12~3월)는 사사관리 - 임신기, 포유기에는 유기사료를 1.5배 증량급여 - 산야초, 수엽류, 약초를 이용한 유기항병사료 활용 - 외부기생충(진드기)구제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고품질 안전축산물 생산으로 부가가치 증진 ○ 산림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유기흑염소 생산비 절감 라. 핵심기술 용어 ○ 산지방목, 친환경 유기축산, 산림부산물 |
||
|
||
3. 자료출처 ○ 산지방목 유기흑염소 생산을 위한 적정 구비조건(2007, 영농활용기술, 최순호) ○ 산지를 활용한 비육용 유기흑염소사육모델(2008, 영농활용기술, 황보순)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