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실용기술모음

    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목, 분류, 작성일, 조회수, 자료출처, 내용으로 구성된 축산실용기술모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염소의 콕시듐증 치료 예방
    분 류 흑염소 > 질병
    작 성 일 2016-09-02 조 회 수 285
    자료출처

    1.흑염소 항콕시듐제 투여로 콕시듐증 치료·예방   바로가기

    흑염소-질병               9. 염소의 콕시듐증 치료 예방

     

     

     

     

    1. 기술배경

      ○ 염소는 콕시듐증 설사질환에 의한 발육위축과 폐사로 경제적 농가 피해가 있음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흑염소 사육 시 원충성 질환인 콕시듐증(Eimeria spp)으로 인해 설사 등 소화기 질환의 발생이 빈번함

        - 시험농가에서의 콕시듐증 발병율 : 65.2%

        - 농가의 콕시듐증 양성율 : 85.7%

        - 가축유전자원시험장의 콕시듐증 발병율 : 39%

      ○ 설사병 발생 시 투여하는 항생제는 콕시듐증에 치료효과를 발휘하지 못함

      ○ 콕시듐증의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해 발육부진, 폐사 등 농가생산성에 악영향을 초래함

    나. 현장활용 기술

      ○ 흑염소에 항콕시듐제를 경구 투여 하여 콕시듐증 치료, 예방

      ○ 질병 예방을 위해 사육환경 개선 및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질병 예방을 위해 사육환경 개선 및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검출두수 표

      * Low* : OPG < 1,000, **  High** : OPG > 1,000, OPG : oocytes per gram of feces

     

     ○ 광범위 항생제주사 및 경구투여

     ○ 예방 : 추위 차단, 스트레스 예방, 소독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항콕시듐제 투여로 흑염소 폐사율 경감

        - 항콕시듐제 급여축의 폐사율 : 2.9%

    라. 핵심기술 용어

     ○ 콕시듐증, 설사, 폐사

     

    3. 자료출처

     ○ 흑염소 기르기(2007, 표준영농교본 149쪽)

     ○ 흑염소 항콕시듐제 투여로 콕시듐증 치료 및 예방(2007, 영농활용기술, 최창용)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