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거세한우(1++ 등급), (1등급)육의 부위별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 결과 활용 | ||
---|---|---|---|
분 류 | 축산물이용 > 소 | ||
작 성 일 | 2016-09-06 | 조 회 수 | 34 |
자료출처 |
1.거세한우(1++ 등급)육의 부위별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 결과 활용 바로가기 |
축산물이용-소 1. 거세한우(1++ 등급), (1등급)육의 부위별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 결과 활용
1. 기술배경
○ 식품성분표에 추가할 쇠고기, 돼지고기 및 가공품 영양성분 자료 요청
○ 식품성분표 전문가 협의회 참석(‘12.4.12 농과원)
- 식품성분표 사용자 및 전문가의견, DB 구축범위, 소비자접근성 제고 등
○ 식품성분표 전문가 협의회 참석(‘12.6.7 농과원)
- 분석네트워크, 식품코드, 영양DB 보완, 시료관리시스템 등 전문가 발표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국제적으로 소비자들의 식품성분에 대한 알권리를 강조하여 영양성분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한국도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식품에 대한 영양성분표시 의무상품이 확대되는 추세임.
○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한국인 영양권장량 등 정확한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식품영양소 함량에 대한 자료 필요
○ 식품성분표(제8개정판, 2011년)에 한우고기 육질등급을 반영한 부위별 영양성분 현행화 자료가 필요함.
나. 현장활용 기술
○ 거세한우 1++ 등급육의 10개 부위, 거세한우 1등급육의 5개 부위
- 일반성분, 칼로리, 콜레스테롤, 무기물(7종),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
- 육색, 가열감량, 전단력, 보수력, 관능특성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단체급식이나 병원 등에 한우고기 부위별 영양정보 제공으로 소비자들의 적절한 영양섭취 및 건강증진 도모
○ 한우고기의 부위별 육질정보 제공으로 요리방법 및 활용도 증진
라. 핵심기술 용어
○ 거세한우(1++ 등급), 거세한우(1등급), 영양성분, 육질특성
3. 자료출처
○ 거세한우(1++ 등급)육의 부위별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 결과 활용(2012, 영농활용기술, 조수현)
○ 거세한우(1등급)육의 부위별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 결과 활용(2013, 영농활용기술, 조수현)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