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소(한우, 육우거세) 출하체중별 도체수율자료 활용 | ||
---|---|---|---|
분 류 | 축산물이용 > 소 | ||
작 성 일 | 2016-09-06 | 조 회 수 | 12 |
자료출처 |
1.소(한우, 육우거세) 출하체중별 도체수율자료 활용 바로가기 |
축산물이용-소 10. 소(한우, 육우거세) 출하체중별 도체수율자료 활용
1. 기술배경
○ 축종별 전문지도 연구회 검토 의견(관련공문 기획조정과-4920(12.9)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한우 및 육우거세의 ’08년도 출하체중은 ’04년과 비교해 보면 생체중이 ’04년 보다 80~97㎏(도체중 48~58㎏)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장기비육으로 거세우의 출하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 가치는 상승하는데 비해 최하위 육량등급의 출현율이 높아짐
나. 현장활용 기술
○ 한우 전체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량(㎏)
○ 한우 전체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율(%)
○ 한우 암소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량(㎏)
○ 한우 암소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율(%)
○ 한우 수소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량(㎏)
○ 한우 수소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율(%)
○ 한우 거세우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량(㎏)
○ 한우 거세우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율(%)
○ 육우 거세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량(㎏)
○ 육우 거세 출하체중별 부분육 생산율(%)
○ ’04년 거세한우 출하체중별 생산량(㎏)과 생산율(%)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한우 및 육우 거세우 최근 출하체중을 반영한 정확한 수율 자료 제공으로 한우 생산자 및 유통업체 간의 거래 기준으로 활용
라. 핵심기술 용어
○ 한우, 육우거세, 출하체중, 도체수율
3. 자료출처
○ 소(한우, 육우거세) 출하체중별 도체수율자료 활용(2010, 영농활용기술, 박범영)
○ 한우 출하체중별 수율기준(2004, 영농활용기술, 김동훈)
○ 한우 등급별 수율기준(2004, 영농활용기술, 박범영)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