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Biogas 이용을 위한 혐기성소화 시스템의 특징 및 운전지침 활용 | ||
---|---|---|---|
분 류 | 축산환경 > 가축분뇨 | ||
작 성 일 | 2016-09-08 | 조 회 수 | 64 |
자료출처 |
1.Biogas 이용을 위한 혐기성 소화 시스템의 운전지침 바로가기 |
축산환경-가축분뇨 1. Biogas 이용을 위한 혐기성소화 시스템의 특징 및 운전지침 활용
1. 기술배경
○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목적으로 메탄가스 생산시스템의 최적화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조건을 감안하여 기술적인 세부지침이 필요함.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메탄가스 생산을 위한 각종 시설이 설치 운영되고 있지만 투입되는 원료와 환경 조건의 변화 등으로 가스 발생량에 차이가 많고 기술적인 이유로 가동이 중단되는 등 정상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나. 현장활용 기술
○ Biogas plant 운전요령 지침(농과원)
○ 2005년이후 설치 전국의 10개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을 특성별 분류
- 소화원료 : 가축분뇨 4개소, 가축분뇨+농산부산물 등 혼합 6개소
- 처리규모 : 집중형(100톤/일 내외) 3개소, 농가형(20톤/일 내외) 5개소,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제시된 지침을 기준으로 운영 시에 메탄가스 발생의 정상화로 가동율을 높여 가스의 에너지 활용뿐만 아니라 균질 액비의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음.
○ 바이오가스 시설 설계시 적정 시설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운영에 참조할 수 있는 모델시스템으로 활용 가능.
라. 핵심 기술 용어
○ 바이오가스, 혐기소화, 운영지침, 가축분뇨, 소화유형
3. 자료출처
○ Biogas 이용을 위한 혐기성 소화 시스템의 운전지침(2003, 영농활용기술, 박우균)
○ 국내 가축분뇨이용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의 특징 비교(2010, 영농활용기술, 조승희)
<붙임>
○ 돈분 슬러리의 성상 및 가스 발생량
※ 1. SCOD(Soluble COD), T-S(Total Solid), VS(Volatile Solid), FS(Fixed Solid)
2. ㎥/kgVS Fed : VS 1kg 투입시 발생되는 가스 양(㎥)
3. 알칼리도(CaCO3, mg/l) : pH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함
○ 유기물 함량별 Biogas 발생 누적량
○ 소화조의 모액 식종비율 및 혼합강도와 CH4 조성비
- 소화조 내의 혼합강도는 유기물함량에 영향을 받으나 총고형물 4∼8% 수준에서는 120rpm이 적당함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