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경사지 토양유실 방지용 목초매트 | ||
---|---|---|---|
분 류 | 조사료 > 목초 | ||
작 성 일 | 2016-09-13 | 조 회 수 | 72 |
자료출처 |
조사료-목초 1. 경사지 토양유실 방지용 목초매트 |
||
|
|
|
1. 기술배경 ○ 우리나라 고랭지(표고 600m) 및 준 고랭지(표고 400~600m) 면적은 73,971ha이며 대부분은 급경사지 산림으로 조성(농진청, 2000) ○ 대관령지역의 년 간 강수량은 1,600mm이며 경사지의 토양 유실량은 33.1톤/ha으로 2.7cm의 토심감소가 일어나는 미사질 양토는 초지조성이 토양유실 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경사지 및 절개지는 토양이 척박하거나, 보수력이 떨어져 목초종자의 정착이 불균일하고 나지발생이 많아 장마기간에 토사유출 및 흙탕물이 지속적으로 발생 ○ 경사지, 도로법면, 토양 유실지, 나지 등 목초 정착 불량지에 대해 토양 유실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임 |
||
나. 현장활용 기술 ○ 못자리용 육묘상자를 이용하여 일반 원예용 상토와 양토를 1:1 비율로 혼합한다 ○ 목초 종자를 상토위에 골고루 뿌리고 1cm 정도 복토한 후 진압한다. ○ 목초파종 후 수분이 충분하게 관주하고 비를 맞지 않게 비닐하우스에서 육묘 ○ 발아 후 1일 2~3회 물뿌리개로 관주하고 발근촉진제를 2회 정도 처리한다. ○ 실내온도가 20℃ 이상일 때 고온피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 또는 외부이동 시킨다. ○ 육묘매트의 이식 하루 전에는 물주기를 중단하고 이동 틀(10단)을 이용한다. ○ 경사지 매트 이식은 평탄작업 후 원예용 상토를 뿌리고 바둑판식으로 배치하며 뿌리가 잘 묻히도록 진압하고 물을 충분하게 뿌린다. ○ 가뭄 시는 3~7일 간격으로 물을 뿌려주어야 활착이 잘되며, 10일 후 초지관리용 비료를 시용한다. ○ 경사지 집중호우에 의한 토양유실
○ 목초 파종 및 육묘이동 틀, 경사지 배치 방법 ○ 목초 매트의 경사지, 목초정착 불량지, 도로 등 유실지 활용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경사지 절개지 법면 등 목초정착이 불량한 곳의 토양유실 방지 ○ 토양유실 우려지의 신속한 목초 정착으로 피해 경감 라. 핵심기술 용어 ○ 경사지초지, 토양유실방지, 목초매트 |
||
|
||
3. 자료출처 ○ 경사지 토양유실 방지용 목초매트(2010, 영농활용기술, 김맹중)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