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일제강점기에 사라져간 재래한우
    작 성 일 2008-12-08 조 회 4117
    첨부파일
     

    일제강점기에 사라져간 재래한우


    □ 농촌진흥청(청장 이수화)에서는 국내에 사육되고 있는 희소가치가 높은 가축을 찾아내어 보존하는 가축유전자원 발굴보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하고, 첫 대상으로 일제 강점기에 사라져간 재래한우를 발굴하여 증식보존 한다고 밝혔다.


      ○ 일제의 권업모범장 축산연구사업 보고서에 의하면 1910년도 한우는 80%정도가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황색의 한우이며 흑우, 칡소 등 다양한 모색이 존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는 현재 남아있는 재래 한우인 흑소와 칡소를 수집하여 먼저 정액 등을 채취 보존하고,


      ○ 순수한 혈통을 회복시키기 위해 자체 개발한 첨단기술인 수정란이식 기술을 이용․증식시켜, 최종적으로 유전자 분석을 거쳐 순수한 계통을 유지할 예정이다.


    □ 2000년 이상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던 한우가 지금과 같은 황색의 모색으로 통일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38년도에 제정된 심사표준에서 “한우의 모색을 적색으로 한다.” 는 규정에 의하여 모색을 통일 시키면서 다양한 모색의 한우가 우리 땅에서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다.


      ○ 당시의 일본은 자국 소의 일본의 고유 품종을 성립시키는 과정 중에 있어 유전자원으로서 활용하고자 한우반출을 합법화하는 정책을 폄으로 해서 우리나라의 다양한 유전자원이 소실되는 계기가 되었다.


    □ 당시의 일본인들은 ‘재래 한우는 왜소한 일본 재래종에 비하여 골격이 크고 온순하며 영리하여 일소로서 최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평가하고, 일제의 수탈 대상품목으로 삼았다.

      ○ 1910년부터 1945년까지 150만두 이상이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로 반출된 사실이 당시의 조선총독부 기록에 남아 있다.


    □ 일본으로 반출된 한우는 일부지역에서는 일본재래종인 화우보다도 많이 사육되었고, 또한 한우의 유전적인 소질을 간파한 육종 학자에 의하여 일본의 품종으로 개발되어

      ○ 지금까지도 일본의 시코국지방 코치현에서는 ‘토사갈모화우’라는 품종으로 우리의 순수한 한우혈통이 유지되고 있다.


    □ 한우는 우수성으로 인하여 70여년간 소수 농가에 의하여 사육되어 지금은 전국적으로 약 300두 이상의 흑우 및 칡소가 사육 중에 있다.


    □ 칡소 흑우에 대하여 유전물질을 분석하여 그 기원을 분류한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조창연 연구사에 의하면

      ○ “우리나라 한우의 모계는 25종 이상으로 분류되며 칡소의 모계는 12종, 흑우는 9종 제주흑우는 5종이상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제주흑우는  내륙에 있는 한우 흑우 칡소에서 볼 수 없는 모계도 2종 존재하며 유전자원으로서 매우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였다.


    □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손동수 장장은 “한우에 이어 염소, 재래닭 등에 대하여도 다양한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하고 우리나라 재래가축을 복원함은 물론 세계적 추세인 유전자원전쟁에서도 우의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참고자료>

    □ 한우사육현황

        <과거 약 100년간의 한우 사육두수>


    □ 1912년 경상도지역 한우의 모색분포현황

     

    경북

    군위

    금산(현 김천)

    밀양

    합계

    비율

    적갈색

    861

    449

    471

    354

    2135

    0.778 

    흑갈색

    90

    51

    76

    67

    284

    0.103 

    흑우

    85

    49

    44

    63

    241

    0.088 

    칡소

    24

    15

    14

    18

    71

    0.026 

    갈색 백반우

     

    3

    1

    7

    11

    0.004 

    흑색 백반우

     

     

    1

    1

    2

    0.001 


    □ 일본사람들이 본 한우의 장점

     ○ 거친 사료에 강하고 체격이 크다.

     ○ 역용우(일소)로서 영리하며 성질이 온순하고 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

     ○ 환경적응 능력이 뛰어나다


    □ 일본에의 한우 공출현황

    년    도

    두수(천두)

    년간 공출두수(천두)

    1910~1921

    280

    23.3 

    1992~1928

    350

    50

    1929~1938

    530

    53

    1939~1941

    300

    100



    □ 일본에의 공출이유

     ○ 소화공황기(1930~31년 미국의 대공황 발생으로 일본이 대공황이 발생) 타결책으로 유축농업 권장

       - 역축으로서 한우의 가치를 높게 평가됨

     ○ 1937~1945년(중일전쟁 및 재2차 세계대전)

       - 군용마를 대체하는 방법으로 한우를 선택


    □ 일제에 의한 한우의 개량시도

     ○ 1912 조선총독부 훈령(제9호)

        - 종모의 선택, 배치 및 보호, 암소의 대여, 방역대책등 9개항목

     ○ 1916년 보호우 제도 신설

       - 우량 종모우의 보호

     ○  1917년 거세정책 시도

     ○ 1921년 한우의 개량시책 발표


    □ 1943년도 일본에서의 한우 사육현황

     

    사이타마현

    야마카타현

    카가와현

    한우사육두수

    20,797

    18430

    16160

    역육용우의 비율

    59.2

    50.4

    31.4



    □ 한우를 이용한 일본화우의 개량

     ○ 토사갈모화우 품종 성립 과정

      - 1900연대 초반부터 한반도의 한우가 일본의 큐슈(九州) 지방으로 반출되어 그중 일부가 시코국(四國)지방 코우치(高知)현으로 유입되었음(고치현 축산과 및 세계가축도감)

    ※ 일제 강점기 한우의 일본으로 반출은 약 150만두 이상으로 추정

      - 1944년 화우의 1개 품종으로 인정함

    ○ 갈모화우의 외모상 특징

      - 인접현인 구마모토 현에서 갈모계통을 사육함으로 양자를 구분을 위해서 갈모화우는 독자적인 심사기준을 설정함

      - 뿔, 귀, 코, 꼬리 및 눈 주변에 흑색이 표현되도록 유도함

      ※ 토사갈모의 외모심사기준의 모색구분은 한우심사기준에서는 실격사항임

     ○ 활용현황

      - 1944년 품종인정이후 약 290두의 종모우가 선발되어 이용되었음(토사갈모화우 종모우 안내, 2007)

      ※ 81두의 종모우는 정액이 보관중인 것을 확임

      - 2007년 약 3,131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나 사육두수가 감소 추세임(고치현 축산과)

      - 2007년도 사용중인 종축은 종모우 15두, 수정란이식용 공란우 4두임

    □ 수정란이식에 의한 흑소 및 칡소 증식 방안



    <농촌진흥청 보유 칡소>


    <농촌진흥청 보유 흑소>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