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영양 가치·수확량 많은 국내산 풀사료 ‘그린콜’ 개발
    작 성 일 2018-07-06 조 회 2224
    첨부파일

    180706_bodo.pdf (622KB) ( 다운횟수 335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영양 가치·수확량 많은 국내산 풀사료 그린콜개발

    - 수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보다 1헥타르당 700kg 더 생산 -

     수입 품종보다 영양 가치가 높고 수확량도 많은 풀사료 새 품종이 나왔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논뒷그루(답리작)에 알맞은 국내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이하 라이그라스) 품종 그린콜을 개발했다.

     라이그라스는 논뒷그루나 밭, 하천 등에서 재배하는 품종으로 소가 잘 먹는다. 그러나 수입 품종의 경우 추위 등 우리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새로 개발한 그린콜은 수입 품종보다 수확 시기가 10여 일 빨라 논 재배에 알맞다. , 조단백질1.1%, 가소화양분(소화흡수해 얻는 양분)2.1% 많다.

     생산성도 좋아 수입종보다 1헥타르당 700kg 더 수확할 수 있다(마른 사료 기준).

     우리나라 라이그라스 재배 면적은 2005년 약 12천 헥타르에서 2017년 약 135천 헥타르로 11배 이상 늘었으며, 2020년에는 20만 헥타르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른 종자 소요량도 2005년 연간 500톤 규모에서 20175,428톤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그린팜, 코윈어리 등 라이그라스 15품종을 육성한 데 이어 그린콜개발로 국내 품종 재배 면적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린콜은 올해 종자생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한 뒤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지희정 농업연구관은 지난해에는 라이그라스 종자 5,428톤 중 28.8%에 해당하는 1,562톤을 농촌진흥청 육성 품종으로 공급했다.”라며,

     올해부터는 국산 품종의 보급을 늘려 종자 자급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초지사료과 지희정 농업연구관, 041-580-6749>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