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한라산 골칫덩이 제주조릿대, ‘말 방목’ 효과 있네
    작 성 일 2019-09-30 조 회 2064
    첨부파일

    191001_bodo.pdf (378KB) ( 다운횟수 290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한라산 골칫덩이 제주조릿대, ‘말 방목효과 있네

    - 말 방목 1년 후 식물종 다양성 늘어식생 조절 기대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말 방목이 제주조릿대의 생육 조절에 효과적임을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와 공동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제주조릿대는 제주 지역에서 자라는 볏과 조릿대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추위와 눈에 강하고 평균 수명은 60120년에 달한다.

     현재 제주조릿대는 한라산 해발 400m 이상 지역의 약 78.5%(347)에 분포하고 있다. 왕성한 번식력 때문에 털진달래, 산철쭉 등 한라산의 많은 식물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에 제주조릿대 군락지에 말을 방목하고 1년 후 식생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식물종이 다양해진 것이 관찰됐다.

     애기나리, 남산제비꽃 등이 되살아나 말 방목 전 15.7종이던 출현 식물 종 수는 방목 후 8.7종으로 늘었다. 개체 수도 19.3개체에서 16개체로 늘었다.

     제주조릿대의 1당 생체 수량은 잎과 줄기가 각각 66%(99.7g), 88%(231g) 줄어든 것을 확인했고, 1당 밀도는 45.7개에서 54개로 증가(18%) 했다.

      - 말 방목은 해발 550m에 졸참나무, 사람주나무 등이 서식하는 제주조릿대 군락지에서 이뤄졌다.

     

     이번 연구에서 그동안 지리적, 비용적인 이유로 벌채가 어려웠던 지역도 말을 방목하면 제주조릿대의 식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병철 난지축산연구소장은 세계적인 자산으로 가치 있는 한라산의 희귀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제주조릿대의 조절은 반드시 필요하다.”라며,

     벌채한 제주조릿대를 사료 자원화하는 연구도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문의처 : 난지축산연구소 우제훈 농업연구사, 064-754-5722>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