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제주흑돼지 포유능력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작 성 일 2020-03-26 조 회 2394
    첨부파일

    20200326_bodo.pdf (394KB) ( 다운횟수 340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제주흑돼지 포유능력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 특정 유전자에 따른 유두수 변화 확인개량 적용 가능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제주흑돼지의 유두(젖꼭지)수와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돼지의 유두 수는 포유(젖으로 새끼를 먹여 기름)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형질 중 하나이며, 어미의 산자 수(한배 새끼 수)와 관련이 있어 양돈 산업에서 선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선행 연구로 제주흑돼지와 랜드레이스 교배집단에서 유두 수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BRMS1L임을 확인했다.

    BRMS1L은 돼지의 7번 염색체에 존재하며, 특정 영역의 염기가 G 또는 A인 단일염기다형성(SNP)에 따라 유두수가 변화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Livestock Science’에 게재됐다.

     

      제주흑돼지의 포유능력을 개량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서 재래흑돼지와 랜드레이스의 BRMS1L 유전자형(A/A, A/G, G/G)에 따른 유두수를 비교했다.

    제주흑돼지의 BRMS1L 유전자형은 G/G형이 가장 많았다. 유전자형에 따른 유두 수는 각각 G/G13, A/G13.9, A/A형이 15개로 나타났다.

    반면, 개량종인 랜드레이스는 대부분 BRMS1L 유전자형이 A/A형이었으며, 유두 수는 14.5개 인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흑돼지 개량에 BRMS1L 유전자형이 A/A형인 마커를 적용하면 유두 수를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병철 난지축산연구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주흑돼지의 유두 수를 늘리게 되면 포유능력이 개선되어 새끼를 더 건강하게 기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흑돼지는 2015317일 천연기념물 제550호로 지정되어 올해로 5주년을 맞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제주흑돼지의 고기 맛에 관여하는 육질유전자(변이-MYH3)를 가진 난축맛돈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문의처 : 난지축산연구소 신문철 농업연구사, 064-754-5741>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