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올해 멸강나방 유충 첫 발견, 전년보다 한 달 이상 빨라
    작 성 일 2020-05-14 조 회 2862
    첨부파일

    20200513_(2)_bodo.pdf (453KB) ( 다운횟수 435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올해 멸강나방 유충 첫 발견, 전년보다 한 달 이상 빨라

    - 정밀예찰 및 적기방제로 작물피해 최소화 노력 필요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주로 국내 볏과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멸강나방 애벌레(유충)가 전년보다 한 달 이상 빨리 발생함에 따라 예찰 및 방제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멸강나방은 매년 중국에서 날아오는 해충으로 보통 6월 중하순에 애벌레가 볏과작물에 피해를 주지만, 올해는 5월 상순부터 충남, 전북 지역의 옥수수와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발생해 피해를 주고 있다.

    이는 중국 남부 지역의 멸강나방 발생 지역과 발생량이 증가해 국내로 많은 수의 어른벌레(성충)가 날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5월 초 전북 부안에 성페로몬트랩에 포획된 멸강나방 어른벌레는 2018년보다 3.2배 많고 2019년 대비 86% 수준이지만, 5월 들어 야간 온도가 10이상으로 높아지면서 멸강나방 애벌레가 부화해 서남해안 지역 옥수수와 사료용 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다.

     

      예찰 방법은 멸강나방 어른벌레는 성페로몬트랩을 사용하고 애벌레는 포충망이나 플라스틱 등의 사각용기를 작물 아래에 놓고 작물을 5회 정도 때려서 사각용기에 애벌레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어른벌레는 옥수수나 사료용 작물 재배 포장 주변에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되 콘트랩과 튜브형 성페로몬을 사용하면 펀넬트랩과 고무격막형 성페로몬을 사용하는 것보다 10배 이상 어른벌레 포획 효과가 있다.

    애벌레는 수시로 보리, 귀리, 옥수수 포장이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를 중심으로 직접 발생을 확인한다.

    - 멸강나방 애벌레는 대부분 녹색바탕 또는 암흑색을 띠고 머리 부분에 팔()자 모양, 등에 백색 줄무늬가 있으며, 잎이나 잎 밑쪽 줄기 틈새에 알을 낳는다.

     

      멸강나방 애벌레가 보이면 즉시 각각의 작물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마을 단위로 공동방제하면 효과가 높다.

    약제 살포 시 잔류농약 검출 등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에 위반되지 않도록 대상 작물별로 등록된 약제를 수확 일시 등을 고려해 살포한다.

    약제에 관한 정보는 농촌진흥청 누리집의 농약정보시스템(http://p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경규 농촌진흥청장은 멸강나방 애벌레는 몸이 자라면서 섭식량이 엄청나기 때문에 조기 퇴치가 중요하다.”라며

    주기적으로 재배지를 관찰하고 애벌레 발견 즉시 방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초지사료과 최보람 농업연구사, 041-580-6743>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