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환절기 허약해진 가축 건강 챙겨야
    작 성 일 2020-09-17 조 회 2582
    첨부파일

    20200917_bodo.pdf (1366KB) ( 다운횟수 384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환절기 허약해진 가축 건강 챙겨야

    - 한우젖소, 사료와 물 신경 쓰고돼지, 적정 온습도 유지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일교차가 큰 환절기가 다가옴에 따라 가축 건강관리에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와 긴 장마, 태풍 등으로 지치고 허약해진 가축은 낮과 밤의 일교차가 갑자기 커지면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떨어지고 호흡기와 소화기 관련 질병에 걸리기 쉽다.

    환절기 가축 관리는 품질 좋은 사료와 깨끗한 물을 충분히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고, 축사 내외부 환경을 항상 청결하게 하는 것이 기본이다.

     

      한우 = 갓 태어난 송아지는 초유를 충분히 먹이고, 바람막이와 보온 관리(적정 온도 25)로 호흡기 질병과 설사병을 예방한다.

    번식우(암소)는 아침, 저녁으로 발정을 관찰해 알맞은 시기에 수정하여 여름철 낮아졌던 번식률을 향상시켜야 한다.

    축사는 1주일에 한 번 이상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외부 해충을 퇴치한다.

     

      젖소 = 환절기에는 유방염 발생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규칙적인 젖짜기(착유)관리가 필요하며, 축사 바닥은 건조하게 유지한다.

    송아지를 낳고 우유생산량이 늘어난 젖소는 충분한 영양소가 함유된 에너지 사료를 먹이고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충해 빨리 회복할 수 있게 한다.

     

      돼지 = 호흡기 질환에 약한 돼지는 배게 기르기(밀사) 하지 않도록 하고, 내부 가스 발생량과 바깥 공기 온도를 고려한 환기로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

    돼지는 성장단계별로 적정 사육온도가 크게 다르다. 특히 젖 뗀 새끼돼지(이유자돈)는 일교차가 크면 소화 능력이 낮아져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정 온도 유지에 신경 쓴다.

    어미돼지의 건강은 수태율과 낳는 새끼수(산자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낮에 환기를 시키고 밤에는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한다.

    돈사 안에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 세균이 많아지고 습도가 낮으면 돼지의 기도가 건조해져 질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적정 습도(5070%)를 유지한다.

     

      닭 = 닭장(계사) 안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면 1일 체중 증가량, 산란율 등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열풍기를 미리 점검한 뒤 적정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바로 가동한다.

    창이 없는 무창식 닭장은 암모니아를 비롯한 유해가스와 배설물, 먼지 매개 병원체 등으로 질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절기에도 최소한의 환기가 필요하다. 닭장 안 습도는 5060%로 유지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오형규 기술지원과장은 환절기 일교차가 심하면 가축의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축사 보온과 환기에 신경 쓰는 등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김창한 농촌지도사, 063-238-7203>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