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말)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우리나라에서는 말 개량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작 성 일 2023.06.27 조 회 수 675
    첨부파일

    Ⅰ. 품종ㆍ개량-1. 우리나라에서는 말 개량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나.pdf (594KB) ( 다운횟수 365 )     다운로드     바로보기

    고려시대는 몽골(원나라)의 영향으로 본격적인 우량종의 말들이 수입·생산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고려 태조는 8개의 국립목장을 설치하였으며 헌종 16년에는 ‘목감양마법’을 제정하고 말의 종류별 사육법을 확립 하였다. 말을 관리하는 중앙조직과 지방조직이 나뉘어져 있으며 중앙조직은 병부(兵部)에서 총괄하고, 지방조직은 목장단위로 구성되었다.

    원나라와의 교류에 의해 제주도에 원나라의 14개 목장 중 하나인 탐라목장이 설치되면서 대완마(大宛馬) 등 우수혈통의 말들이 들어와 사육되었다. 이때에 비로소 국내에 한혈마라고 부르는 크고, 우수한 아랍계, 중앙아시아계 품종이 도입되었으며, 정기적으로 원나라에 공물로 바쳤다. 조선시대는 고려시대의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독자적인 체계를 확립하였으며 임진왜란 전까지 말 산업의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였으나 경국대전의 완성 이후, 조선 특유의 관리조직을 구성하여 200여 개의 목장을 운영하였다.


    난지축산연구소 최재영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