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미 말의 유방이 기능적으로 손상되어 젖을 생산할 수 없거나 어미 말이 죽을 경우에는 망아지는 유모나 사람에 의해 길러져야 한다. 유모는 망아지를 잃은 어미 말이 있는 경우 서로 구제하는 이점이 있어서 가장 적당하다. 망아지가 어미의 초유를 먹지 못하면 유모의 젖을 먹더라도 소화기에 이상을 일으켜서 설사를 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유용한 유모가 없으면 우유를 이용하는데 우유는 분만 후 일주일 이내의 암소로부터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일단 유모가 정해져서 포유시키기 시작하면 젖을 바꾸지 않은 것이 좋다.
우유를 먹일 경우 암말의 젖 성분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우유의 지방과 카제인의 비율을 낮추고 당은 보충해주어야 한다. 당분은 우유 1ℓ당 설탕 15g을 혼합하여 2ℓ를 2시간 간격으로 5회 급여하고(총 10ℓ/일) 10일이 지나면 4ℓ를 3시간 간격으로 4회 급여한다(총 16ℓ/일, 체중의 약 25%).
이외에도 망아지용 분말우유(Foal-lac)를 급여한다. 이것은 암말의 젖 속에 있는 필요한 성분을 모두 함유하도록 만들어진 제품으로 비타민과 광물질이 충분히 보충된 것이다. 이것을 고아 망아지에게 첫 주에는 매일 4회(6시간 간격) 먹이를 주어야 한다. 망아지가 정상적으로 먹이를 섭취하면 두 번째 주에는 먹이를 매일 3회로 바꾸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매일 4회 섭취시킨다. 다음 주에는 3회 급여해도 무방하며 네 번째 주는 2회로 감소시킨다. 다음은 액체로 된 먹이를 중단하기 수 일전에 매일 한 번 급여로 감소시킨다.
위생관리와 보온에 주의해야 하며 생후 2∼3주 부터는 건초나 청초를 주도록 하며, 1개월 후에는 사료를 급여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망아지에게 반드시 초유를 급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초유는 냉동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둔다.
난지축산연구소 신상민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