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말)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적절한 말의 위생관리는
    작 성 일 2023.06.27 조 회 수 256
    첨부파일

    Ⅳ. 위생ㆍ질병-56. 적절한 말의 위생관리는.pdf (594KB) ( 다운횟수 154 )     다운로드     바로보기

    마방의 환기 및 위생 상태관리와 영양관리가 적절하게 된다면 말이 질병에 노출될 위험은 줄어든다. 특히 마방 내 깔짚의 주기적인 교체와 소독실시 등의 위생관리가 철저하다면 건강관리의 최소한의 조건은 충족된다. 영양관리와 위생적인 축사관리 외에 말 개체 하나하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특히 이유 후 당세마의 경우 어미로부터 받은 모체 이행 항체가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호흡기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개체별로 기침을 하는지, 콧물이 나오는지, 열이 있는지 등의 증상 관찰을 하여 치료를 조기에 실시한다면 당세마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성마의 경우 마방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운동량 부족에 의한 소화기능 저하로 산통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므로 성마에 관한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운동도 필요하다.

    방목했던 말의 경우 마방에 입식하기 전에 내, 외부 기생충 구제를 실시하여 산통, 설사, 성장지연 등의 피해와 개체 간 외부 기생충 전염을 예방할 수 있다. 기생충 구제약은 아버멕틴과 프라지콴텔이 혼합된 경구투여용 약제를 사용하거나 등위에 도포하는 기생충 구제약인 아버멕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질병 차단을 위한 예방 백신 접종은 말 질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특히 마방 내 집단 사육의 경우 말 개체 간 접촉이 많아 전염병의 경우 급속히 전파되어 큰 피해를 유발하므로 사전에 예방 접종을 실시하여 질병 예방에 힘써야 한다. 호흡기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은 말 선역, 말 비강폐렴, 말 인플루엔자 3종이 수입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백신 프로그램에 맞게 실시한다면 호흡기 질병 예방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난지축산연구소 신상민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