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말)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말 조련 시 유의할 점
작 성 일 2023.06.27 조 회 수 260
첨부파일

Ⅴ. 길들이기-71. 말 조련 시 유의할 점.pdf (594KB) ( 다운횟수 166 )     다운로드     바로보기

조교의 기본 요령은 친절을 본위로 하고 애무와 제재를 적절히 이용한다. 반항적 행위가 있으면 고의적인지, 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긴 행위인지를 확인하고 고의로 명령에 불복종했을 때에는 즉시 제재를 가한다. 평소의 사양관리 시에 인마(人馬)의 친화가 도모되면 조교의 절반이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교할 때나 일반관리에 있어서 말의 감정 또는 심정 상태를 잘 관찰하여 즉시 현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항상 세밀하게 유념해야 한다. 말의 감각이 극히 예민하여 오감각(시·청·후·미·촉)에 의해 미세한 일까지 잘 판단하여 이것을 표정이나 행동으로 나타내므로 그 심정을 파악할 수 있다. 귀는 말의 가장 예민한 기관으로서 말의 경우 성질 등을 귀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귀를 뾰족하게 세우고 예민하게 동작하는 말은 현명하고 의지가 있으며, 귀를 평탄하게 하수하고 동작이 느린 말은 둔하고 의지가 약하다.

▣ 주요 행동특성
- 사물에 주의할 때에는 귀를 날카롭게 세우고 눈을 부릅뜨며 주의하는 방향으로 향 한다.
- 공포가 있을 때에는 귀와 눈을 원인의 방향으로 돌리고 콧구멍을 크게 벌리며 호흡을 거칠게 한다.
- 경계하거나 적대행위을 하는 경우는 목을 내리고 앞쪽으로 늘리며 귀를 뒤쪽으로 심하게 긴장을 하며 눈의 흰자위를 보이며 주시한다. 악의가 있을 때의 표정으로서 간혹 등을 펴고 엉덩이, 꼬리, 뒷다리 등을 모았다가 사람이 접근하면 발로 차거나 또는 입으로 문다.
- 사료나 물을 요구할 때는 코끝의 좌우 양쪽 끝부분을 빈번히 움직이고 날숨을 후후 뿜어 내면서 앞다리로 땅을 긁는다.
- 희열이 있을 때는 말이 마사에서 나와 상쾌한 기분으로 되면 기운차게 소리 내어 울고, 간혹 꼿꼿이 서거나 도약하기도 한다.
- 웃을 때에는 코끝과 윗입술을 위쪽으로 끄집어 올리고 치아를 노출시키며 입을 위쪽으로 쳐들어 쾌감이 있는 태도를 나타낸다.


난지축산연구소 최재영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