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의 보법은 말이 걷거나 뛸 때 걸음의 형태를 말하며, 보도는 보법의 빠르기를 말한다. 말의 보법에는 평보, 속보, 구보, 습보가 있다.
평보는 말의 자연스러운 걸음의 하나로서 4박자의 운동으로서 4다리가 각기 따로 움직인다. 움직임의 순서는 왼쪽 뒷다리, 왼쪽 앞다리, 오른쪽 앞다리 순으로 움직이고 평보는 자유로워야 한다. 각 보폭이 같고 항상 둘 이상의 다리가 지면에 접해 있으며, 평보의 속도는 분당 110m이다. 평보를 할 때 걸음을 망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보폭이 제한받지 않고 리듬을 잃지 않는 등 자연스러움을 유지해야 한다. 평보에는 중간평보, 수축평보, 신장평보, 자유평보로 나뉜다.
속보는 규칙적인 2박자 운동이며, 대각선상의 앞, 뒷다리가 한 조로서 한 조를 지면에서 떼면 다른 한조의 착지 때까지 네다리가 공중에 뜨는 순간인 공간기가 있다. 순서는 왼쪽 뒷다리와 오른쪽 앞다리, 공지기(사지가 모두 공중에 뜬 상태), 오른쪽 뒷다리와 왼쪽 앞다리, 공지기로 이루어지며, 속보의 속도는 분당 220m이다. 속보에는 수축속보, 보통속보, 중간속보, 신장속보 등이 있다. 또한 속보의 방법에는 말의 리듬감을 정확하게 받아 일어섰다 앉았다 하는 경속보와 앉은 상태에서 말의 반동을 허리로 흡수하는 좌속보가 있다.
구보는 불균형한 3박자 운동으로 나가는 발에 따라 좌구보와 우구보로 나누며, 구보의 속도는 분당 320m이다. 구보에는 수축구보, 보통구보, 중간구보, 신장구보 등이 있다.
습보는 경주할 시의 4절도 운동이며, 최고 속력으로 달리는 보행으로 좌습보와 우습보가 있으며, 속도는 말의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제주마 등 일부 말 품종에서는 측대보라는 보법이 있다. 이는 같은 쪽의 앞과 뒤 다리가 동시에 지면을 뜨는 2박자 보법이다. 제주마에서는 이런 보법을 제마라고 불리우고 일반 말의 보법 보다 상하로의 흔들림이 적다.
난지축산연구소 최재영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