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고기에는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acid) 함량이 높은데 이는 말이 조사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acid)을 직접 흡수하기 때문이다. 말고기의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 acid)과 더불어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16:1)이 특별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다른 연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말고기에서 높은 함량의 팔미톨레산은 종특이 현상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팔미톨레산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사람이 팔미톨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섭취했을 때 혈 중 저밀도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팔미톨레산은 취장의 베타세포(beta-cell)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말고기에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말고기 자체가 기능성 식품임을 알 수 있다. 말기름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에서 화상치유 등 피부보호제로 활용되어 왔다. 연구자에 따르면 사람의 피지에 함유하고 있는 팔미톨레산이 그람 양성균에 강력한 항균작용을 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들은 피부보호제로 팔미톨레산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각 나라에서는 말기름을 이용하여 화상 치료 보조제, 화장품 등이 개발되어 피부보호제로 활용되고 있다.
난지축산연구소 우제훈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