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포유모돈의 관리와 점검 포인트
① 체지방 1% 감소는 다음 번식 시 산자수를 0.1두 감소시킵니다.
② 비유기간 중 1일 6kg 이상의 사료를 급여하면 모돈 체형유지가 가능합니다.
③ 일반적으로 기초사료 2kg+자돈 1두에 각각 0.4kg을 추가 급여하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④ 사료 섭취량은 환경 온도의 영향이 매우 크므로 고온기에는 1일 4회 이상 나누어 급여합니다.
⑤ 분만돈 및 자돈의 사료 섭취량을 철저하게 기록합니다.
▣ 번식모돈의 도태 기준
① 산차 평균에 비해 이유 두수가 적고, 이전 산차에서도 이유 두수가 평균 이하인 모돈
② 분만 시 이상 산자수가 많은 모돈 : 6산 이후에서는 사산 두수가 증가하며, 생존 산자수를 중요하게 판단
③ 2산 연속 생시복당 총체중이 15kg 이하이고 생시체중 1kg 이하의 자돈이 20% 이상인 모돈
④ 1산차에서 2회 이상 재발하는 모돈과 LH-RH 유사물질을 투여해도 수태가 되지 않은 모돈
⑤ 발정 주기가 18∼23일을 벗어나는 모돈과 6산 이상에서 재발하는 모돈
⑥ 무발정의 발생 빈도가 높고 이유 후 발정재귀가 지연되며 호르몬을 처리해도 개선되지 않은 모돈
⑦ 분만이 없거나 비생산일수가 긴 모돈 등은 양돈장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능력이 우수한 모돈으로 교체
(양돈과)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