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조사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청보리+옥수수 작부체계에서 연작 피해 방지 방법은
    작 성 일 2023.06.19 조 회 수 559
    첨부파일

    Ⅱ. 동계 사료작물 재배기술-20. 청보리+옥수수 작부체계에서 연작 피해 방지 방법은.pdf (594KB) ( 다운횟수 166 )     다운로드     바로보기

    ▣ 작물의 연작 피해
    ○ 같은 종류의 작물을 2년 이상 같은 장소에 재배할 때, 토양으로부터 많은 양분이 집중적으로 탈취되어 단위면적당 수량이 낮아지는 현상으로서 연작 장해라고 한다.
    ○ 청보리와 옥수수는 연작 피해가 적은 작물에 속한다.

    ▣ 연작 장해의 원인
    ○ 연작 장해는 토양의 화학성, 토양의 물리성, 병해 발생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
    ○ 옥수수가 필요로 하는 비료 성분을 집중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토양의 비료 성분 불균형으로 인한 양분결핍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토양 전염병의 밀도가 증가하여 병해 발생이 심한 경우가 있다.

    ▣ 일반적인 연작 피해 방지 방법
    ○ 연작 장해를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작물을 돌려가며 심는 윤작(돌려짓기)이 있다.
    ○ 작물의 생육이 불량하면 병에 대한 방어력이 약화되어 병해 발생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적정한 시비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 옥수수 연작 피해 방지 방법
    ○ 충분한 가축퇴비 시용과 인산질 비료의 시용 그리고 석회시용으로 토양산도를 산성에서 중성으로 개선해 준다.
    ○ 우분퇴비를 연간 50톤/ha 정도로 충분히 시용하면, 집중적으로 탈취된 비료 성분의 보충으로 연작 피해가 줄어든다.
    ○ 옥수수는 알곡 생산이 많은 작물이므로 인산질 비료가 부족하면, 알곡 수량의 감소로 인해 전체 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 토양이 산성을 나타내면, 토양 내 다양한 비료 성분은 식물이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불활성화가 되기 쉽고, 특히 인산은 산성토양에서 고정되어 옥수수가 이용할 수 없게 된다.

    ▣ 청보리+옥수수 작부체계는 권장되지 않음
    ○ 청보리와 사료용 옥수수의 작부체계는 권장되지 않는다.
    ○ 옥수수의 파종 적기는 4월 25일에서 5월 5일까지이나 청보리의 수확 시기는 아무리 빨라도 5월 중순이 되어야 하므로 옥수수의 파종 시기가 너무 늦어져 수량 감소가 많을 수 있다.
    ○ 옥수수의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옥수수+가을귀리 재배가 추천되고, 동계작물로 호밀이 좋고 그다음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이다.


    (초지사료과 / 041-580-6741)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국립축산과학원[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