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깔짚우사 바닥의 깔짚 상태는 축사 내부 여건과 축사 외부 여건에 의해 결정되어 집니다. 축사 내부 주요 여인으로는 단위 면적당 사육 두수(분뇨 부하량)와 깔짚 사용기간 그리고 환기 정도 등이며, 축사 외부 주요 요인은 계절과 기후 등 자연여건 그리고 축사 방향과 축사 개방도, 축사투광 정도 등입니다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요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축사환경이 깔짚건조에 유리하도록 조성하는 관리자(목장주 등)의 축사 관리기술입니다.
- 관리자는 적정량의 깔짚(10cm 두께 내외)을 투입하고 깔짚 수분 상태에 따라 적기 교체를 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또한 축사 내부 깔짚의 수분이 잘 마를 수 있도록 축사환경을 적절하게 관리하면 깔짚 사용기간을 연장 할 수 있습니다.
- 송풍팬이나 축사 개방관리를 통하여 축사 내에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합니다.
- 축사 바닥의 로터리 작업에서 교반할 때 미생물제 등 환경개선제 살포를 통해, 악취 휘산방지와 유용미생물이 깔짚에서 번식해 악취를 줄이도록 관리해야 하며, 축사깔짚의 상태에 따라 트랙터, 관리기 등으로 주기적(주 1회 권장) 교반을 실시해 주어야 합니다.
- 바람이 유입되는 길목(바람 길)에 건초나 장비 기타 시설물을 비치하여 두면 환기를 방해하여 깔짚 건조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므로 축사 주위의 주풍향을 고려하여 건초나 장비 등을 보관하도록 합니다.
- 우사의 지붕재질은 햇볕의 투과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가급적 투광성 재질을 사용하거나, 개폐식 지붕을 사용하여 축사 내부에 일광이 잘 비추도록 하면 깔짚의 수분증발과 축사환경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 축사 내부로 빗물이 들이치거나 흘러들지 않도록 하고 지붕의 틈이나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수리하도록 하고, 축사 내 음수조 부분이나 사료조 그리고 소들의 분뇨 배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깔짚관리에 유의하고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습한 부분이 있으면 톱밥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깔짚과 혼합하여 수분 함량을 조절합니다. 깔짚이 과도하게 습하게 되면 건조 효율이 급격하게 낮아지므로 깔짚에 소의 발이 푹푹 빠지는 정도가 되기 전에 깔짚 상태를 관리하도록 합니다.
- 깔짚 전면교체는 건조 조건이 좋은 여름보다는 건조 효율이 낮아지는 초겨울에 하는 것이 깔짚관리에 더 유리하며, 로타리를 이용하는 깔짚을 갈아엎어서 깔짚 건조 효율을 높이고 이용기간을 연장하는 농가의 경우 깔짚의 염분농도와 톱밥의 수분 흡수 효율 등을 고려하여 깔짚 적정사용기간을 결정하여야 합니다.
○ 깔짚 분뇨를 재활용하면 어떤가요?
- 깔짚 분뇨 재활용으로 인해 깔짚 구입비용은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깔짚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깔짚재의 물리적 구조가 약화되어 수분흡수력이 감소함으로써 깔짚으로서의 기능이 약화되어집니다. 또한 깔짚재의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합니다.
○ 깔짚(톱밥)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축사 내의 환기가 잘되도록 하면 깔짚의 수분증발이 촉진되어 깔짚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또한 우사의 깔짚을 뒤집어주기를 하거나 로타리 등을 이용하여 깔짚의 수분증발을 촉진하여 주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축산환경과 / 063-238-7449)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