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지수는 기립 또는 보행(걸음걸이) 중 소의 등 자세(등선)가 아치형으로 굽었는지 여부를 관찰하는데, 1∼5단계로 나누어지며 1이 정상, 5는 가장 심한단계입니다.
1단계는 정상으로 기립 또는 보행 중 등선이 정상이며, 자신감 있는 긴 보폭으로 보행을 하며, 2단계는 다소 절음 상태로 기립 시에는 등선이 평평하나, 보행 시에는 아치형이며 걸음걸이는 정상 상태입니다. 3단계는 비교적 절음 상태이며 기립 또는 보행 시에 아치형 등선이 관찰되고, 걸음걸이의 보폭이 짧아지며, 아픈 다리의 반대편 다리에서 며느리발톱이 약간 함몰됩니다. 4단계는 절음 상태로 기립 또는 보행 시에 아치형 등선을 하며, 하나 이상의 다리가 순조롭지만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 5단계는 심한 절음 상태이며 아치형 등선이 뚜렷하고, 아픈 다리에 무게가 실려 이동을 꺼립니다.
보행지수에 따른 유생산 감소는 1단계와 비교하여 2%(2단계), 4%(3단계), 9%(4단계), 15%(5단계) 감소하며 수태율 감소, 도태율 증가 및 노동력과 진료비용이 증가합니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