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유는 유즙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증상으로 분만 후 비유를 시작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생리적인 혈유와 유방의 외상 또는 유방염 등에 의한 병적인 혈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혈유는 분만 후 급속히 비유가 개시됨에 따라 대량의 혈액이 유선의 혈관에 유입되어 모세혈관이 확장하게 되고, 이때 혈관벽으로 적혈구가 누출되거나 일부 혈관이 파열되면서 혈액이 유즙 중에 섞여 나오게 됩니다. 특히 유방의 임신성 부종이 심한 경우 많이 발생합니다.
병적 혈유는 유방 또는 유두의 외상에 의한 출혈, 유방염에 의한 조직 손상에 따른 출혈, 분만 후 후산 정체, 태아 미이라 변성 시, 그리고 비유량이 많은 소에서 혈액 중 케톤 증가로 인한 케토시스로 혈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유방염과 외상에 의한 혈유증은 유방이 붓고 열이 나며 통증과 유방 기능장애(유량 감소, 유질 저하)를 나타내는데, 생리적 혈유증에서는 전신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생리적 혈유는 착유를 되풀이함에 따라 감소하여 보통 수일 내에 회복합니다. 고단백질 사료, 다즙질 풀사료를 줄여 수일간 유량 감소를 시도하고 분만 후에는 수일간 냉습포를 실시합니다. 유방염 예방은 위생적인 사육환경을 위해 청결, 정기적인 소독, 깔짚 교체를 충실히 하고 특히 분만 위생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착유 위생관리를 위해 착유자의 위생 상태 점검, 유방세척 수건의 개체별 구분, 착유 후 유두 침지 및 분무소독을 실시하고, 착유기의 진공압 및 착유속도를 고려하여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