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아지 설사병의 원인은 어미 소의 유질이 나쁘거나 과식 등에 의한 식이성, 바이러스·세균·기생충 등의 병원체 감염에 의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감염 병원체는 로타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 대장균, 살모넬라, 클로스트리듐, 콕시듐, 크립토스포리디움 등이 있다.
설사병 예방 백신의 대부분은 로타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증을 예방하는 백신이며, 일부에서는 대장균 백신이 혼합되거나 단독으로 함께 접종한다. 따라서 설사병 예방 백신은 설사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인 로타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 대장균 감염증을 예방하는 백신이므로 그 외의 설사병을 모두 예방할 수는 없다. 백신을 임신우에게 접종하였더라도 송아지가 분만 후 빨리 많은 양의 초유를 섭취하지 않으면 백신의 이행항체가 적어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설사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설사병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소에서 태어난 송아지보다 백신을 접종한 소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치료 효과가 더 좋다.
그러므로 송아지 설사병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을 정확하게 실시하고, 분만 직후 어미 소의 유방을 세척, 소독하여 병원체를 제거하며, 어미 소의 유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급여사료를 증량하지 않는다. 송아지가 있는 칸은 항상 건조하게 유지하고 주 1~2회 소독하여 병원체의 증식을 방지한다. 백신 접종 후에도 설사병이 발생되면 발생 시기, 설사 분변의 색깔 등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